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

KBS TV 수신료 안 내는 방법 해지 하는 법, IPTV도 TV 수신료 내야 할까?

by 상상속정보 2024. 8. 21.

KBS TV 수신료 안 내는 방법 해지 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IPTV 시청 시 수신료 납부 여부도 알아보겠습니다. 얼마 전 광복절에 KBS의 기미가요 방송에 경악을 금치 못한 국민들이 많을 것입니다.

작년에 KBS TV 수신료가 전기세와 같이 강제 징수 되던 것에서 분리 징수로 바뀌면서 많은 분들이 수신료를 해제하기도 했는데요.

그런데 얼마전 광복절에 KBS가 초유의 기미가요 방송으로 이제는 수신료 거부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고 KBS 게시판까지 올라온 상항입니다.

가정에 TV수신기가 없다면 당연히 KBS TV 수신료는 낼 필요가 없는데요. 하지만 이것도 사용자가 별도 해제 신청을 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오늘은 KBS TV 수신료 해지 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수신료 분리징수란?

분리징수 전까지는 전기요금 고지서에 KBS 수신료가 함께 포함이 되어 강제 징수 항목이었습니다.

하지만 작년 7월 이후 제도가 변경이 되면 전기세 요금 고지서와 TV수신료 고지서가 따로 발행이 되고 별도로 해지도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분리징수라는 의미는 기존의 전기세에서 분리되어 Tv 수신료를 별도로 납부하게 된 것입니다.

IPTV도 TV 수신료 내야 할까?

TV나 TV수신기가 없는 가정이나 사무실은 TV 수신료를 낼 필요가 없다는 것은 명확한데, IPTV일 경우에는 좀 애매해질 수가 있습니다. 왜냐면 우리가 KBS를 보지만 IPTV요금이 별도로 나가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아쉽게도 아직은 텔레비전수상기를 소지한 자는 수신료를 내야 한다는 규정 때문에 IPTV 시청자도 수신료를 내야 합니다.

KBS TV 수신료 안 내는 방법 해지 하는 법

현재 광복절 기미가요 방송 이후로 집에 TV가 있지만 없다고 신고를 하고 KBS TV 수신료 안 내는 방법도 있다고 하는 게시물이 많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발각이 되면 미납 요금에 대한 불이익이 생길 수가 있어서 이런 방법들은 자제하는 경우가 좋습니다.

만일 집에 TV가 없다면 KBS TV 수신을 해지를 해야 하는데요. 우선 KBS 고객센터, 아파트 관리사무소 등에 분리납부를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그러면 전기 요금에서 TV수신료가 따로 분리가 되게 되는데요.

분리 납부 신청 시 TV 수신기가 없는 가정은 TV수신료 부과 중지 신청도 같이 하면 됩니다. 아파트가 아니고 일반 주택이나 빌라라면 한전 고객센터 123번에 전화에 신청으로 TV수신료 분리 신청과 해지 신청을 하면 됩니다.

일부러 수신료를 안 내면 부과세가 발생되니 그냥 수신료 해지 신청을 별도로 하시면 됩니다.

 

한전 고객번호 조회 하는 방법 고객센터 연락처 운영시간

한전 고객번호 조회 하는 방법 고객센터 연락처 운영시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고금리 고물가 시대에 전기 요금도 상당한 부담입니다. 입추가 지났지만 아직 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

imagnrich.tistory.com

KBS TV 수신료 해지 안내 썸네일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