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변성 초기 증상 테스트 자가진단 쉽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황반변성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에 문제가 생겨 물체의 중심에 암점이 보이거나 변형이 되어 보이는 안구 질환입니다.
주로 고령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고 심하면 실명까지 이를 수 있다고 합니다. 예전에 쌍둥이 아빠로 알려진 이휘재 씨의 황반변성 질환이 알려지면서 일반인들에게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이 황반변성 증상부터 자가진단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황반변성 무슨 질환?
황반은 눈 뒤에 망막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직경 1.5mm의 작은 신경 조직입니다. 이 조직에 생기는 질환이 황반변성 질환입니다. 황반은 빛에 민감한 세포가 밀집되어 있어, 사물을 세밀하게 보는 데 필수적입니다.
보통 나이가 들면서 황반에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으로 노화와 관련이 깊고 시력저하를 가져옵니다. 가족력이 있다면 황반변성의 발생 위험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황반변성 원인으로는 고령으로 인한 신체 노화와 고혈압, 당뇨 질환, 가족력, 흡연 등이 원인이 됩니다. 황반변성 질환 환자 중 70세 이상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로 노화로 손상된 시신경 세포가 망막에 쌓여서 발생합니다. 그런데 삼출성 황반변성이라고 해서 망막에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이 형성되어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출혈과 삼출물의 영향으로 급격한 시력 저하가 발생하고 조기에 빨리 치료를 하지 않으면 2개월에서 2년 내에 실명이 될 수도 있습니다.
황반변성 초기 증상
황반변성 초기에는 변성시라고 해서 사물이나 직선이 물결치듯이 휘어져 보이기도 합니다.
또는 물체의 중심에 암점이 보일 수가 있습니다. 색상이 이전보다 덜 밝게 보이는 증상도 있는데요. 어두운 환경에서 시야가 더 흐릿해질 수도 있습니다.
책을 읽을 때 글씨에 공백이 보이는 경우도 있고 갑자기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그렇게 전체적인 시력이 감소하다가 글자를 읽거나 사람 얼굴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이 나타나고 더 심해지면 실명까지 될 수가 있습니다.
주로 고령층에 나타나고 젊은 층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황반변성 자가진단 하는 방법
황반변성의 증상이 의심된다면 ' 암슬러 격자 검사 '라고 하는 바둑판 모양의 격자로 가정에서 간단하게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위의 격자 이미지를 밝은 조명이 있는 곳에서 30cm 떨어져서 두고 가운데 점을 중심으로 한쪽 눈을 번갈아서 봅니다.
만일 아래의 증상이 나타나면 황반변성의 증상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 선이 휘어지거나 희미하게 보이는 경우
- 바둑판이 휘어져 보이는 경우
- 선이 물결 모양으로 보이는 경우
- 네모 칸 크기가 다르게 보이는 경우
- 일부 모서리가 보이지 않는 경우
- 가운데 점이 보이지 않는 경우
- 가운데 점이 넓게 퍼져 보이는 경우
- 가운데 점이 찌그러져 보이는 경우
단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는 그대로 착용하고 테스트를 합니다.
황반변성 정리글
오늘은 황반변성의 증상과 원인 자가진단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황반변성은 오래 방치하면 실명에 이를 수가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위의 내용과 비슷한 증상이 보이시는 분들은 자가진단 테스트를 한 번씩 해보시기 바랍니다.
코로나 치료제 처방 약국 병원 의료기관 실시간 재고 검색 하는 방법(코로나 치료제 가격 본인
코로나 치료제 처방 제조 약국 병원 의료기관 실시간 재고 검색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얼마 전부터 코로나가 다시 확산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직은 걱정할 단계는 아닌 것 같
imagnrich.tistory.com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 아보카도 오일 먹으면 ? 효능 하루 섭취량 보관법 유통기한 정리 (0) | 2024.08.23 |
---|---|
치아 부분 교정 9년 후기 , 언제까지 유지해야 할까? (0) | 2024.08.17 |
모낭충 완전히 제거 가능한가 ? 모낭염과 모낭충증 차이 정리 (0) | 2024.08.15 |
슈퍼 푸드 아사이베리 아시이볼 효능 칼로리 가격 만드는 방법 정보 (0) | 2024.08.14 |
더운 여름 횡문근융해증 증상 원인 정리 , 과도한 운동이 원인? (0) | 2024.08.11 |